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경계선 인격장애

by memori_ 2023. 12. 20.

경계선 인격장애 
경계선 인격장애 또는 정서불안 성격장애(BPD)는 주로 성인기 초기에 발병하는 인격 장애로 불안정한 대인관계, 자아, 감정 기복 등의 특징이 있고, 외관상 정상적으로 비칠 수 있다. 환자들은 자해 가능성이 있고, 공허감, 유리 공포, 해리(dissociation) 증상을 겪을 수 있다. 유전적, 환경적, 사회적 영향이 원인으로 지목된다. 

 



인지행동치료와 심리치료 병행
경계선 성격장애는 인지행동치료(CBT)과 심리치료를 병행할 수 있다. 일대일 혹은 그룹 치료가 있고, 그중 통원 치료가 필요한 환자도 있다. 다양한 치료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경계선 인격장애로 인한 증상의 호전을 기대할 수 있다. 자살 위험이 있는 환자에게 변증법적 행동치료(dialectical behavior therapy)를 적용할 수 있다. 

매년 약 1.6% 진단
여성이 남성보다 경계성 인격장애 진단율이 3배 높으며, 고령자 비율은 낮다. 환자 중 절반이 장기 치료를 약 10년 정도 받는다. 경계선 인격장애 환자 자살률은 10%로 보고된다. 동반되는 질병으로는 약물 남용, 우울증, 식이장애가 있다. 

경계선 인격장애 원인
현재까지도 경계선 성격장애의 원인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어릴 적 겪었던 트라우마(trauma)가 기여 요인(contributing factor)으로 작용할 수 있지만, 트라우마 이외에 선천적 두뇌 기형, 유전, 신경생물학적 요소, 환경 요소 등에 대한 연구는 진행 중이다.

사회적 요인
초기 발달 과정에서 가족, 친구, 다른 아동들과 어떤 상호작용을 해왔는지 등

심리적 요인
환경에 의하여 형성된 개인 성격, 기질, 그리고 스트레스 대처 능력 등

유전적 요인
두뇌 기형
이로 비활성화되어 있어 감정과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을 조절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는다. [50]

신경생물학적 요인

가정환경 요인
불안정한 가정환경은 경계선 성격장애를 야기하지만, 안정된 가정환경은 장애의 가능성을 낮춘다. 안정된 환경이 장애로 발전하는 것을 완충한다고 볼 수 있다.

경계선 인격장애 증상
- 기분 변화와 강력한 정서적 반응에 대한 조절의 어려움
- 타인에 대한 정서적 공감이 부족
- 극단적인 이상화와 평가절하(idealization and devaluation)
- 선과 악으로 세상을 이원화하여 생각해서 종교에 빠져드는 경향이 있음
- 폭발적이고 예측 불가능한 행동 패턴을 보임
- 극단적으로 변덕스러우며 비정상적인 감정 기복 증상이 나타남
- 대인관계에서 양극단의 양상이 반복됨
- 자신이 버림받는 것을 두려워함(유기 공포)
- 대인관계에서 불안과 혼란스러운 감정이 반복됨(사소한 거절이나 비판에도 민감하게 반응)
- 자아상(self-image)의 왜곡과 명백한 자의식(sense of identity) 혼란이 일어남
- 충동적이거나 통제 불가한 소비, 안전하지 못한 성관계, 약물남용, 난폭운전, 폭식 증상
- 자살 시도를 반복함
- 정서 반응(emotional reaction)이 통제 불가능함, 공허감
- 분노 조절에 어려움을 느낌(애정을 느끼는 상대방이 어떠한 요구를 거절하면 심한 분노)
- 심각한 해리(dissociation) 증상이 반복됨

기타 증상
- 개인의 정체성, 도덕, 가치관에 대한 혼란
- 스트레스를 받을 때 보이는 편집증적 생각
- 이인증(depersonalization)
- 스트레스로 인해 유발되는 현실과의 단절
- 정신증적 삽화(psychotic episodes)

경계선 인격장애가 있는 사람이 항상 느끼는 감정
그들이 느끼는 것은 불안하고, 자신만이 고립된 듯하고, 겁에 질리는 감정이다. 자신에게 미소를 짓거나, 도움을 베푸는 존재를 우호적인 사람으로 인식한다. 그러나 이러한 존재가 곧 떠날 것 같은 말과 행동을 한다면 경계성 인격 장애를 가진 이들은 공포에 질리고, 분노를 표출하거나, 떠나지 말라고 애원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반응할 수 있다.

경계선 인격장애 환자의 감정 특징
- 다른 사람들보다 더 쉽게, 더 깊은 감정을 느끼고, 그것이 오랜 시간 동안 지속됨
- 정동 불안감(affective instability)
- 환경적 촉발 요인(environmental trigger)에 대하여 비정상적으로 강렬한 정서 반응을 보이면서도 기본 정서 상태로 전환됨이 느리다. 이들은 가끔 이상적이며 즐거워하는 모습을 보이더라도 슬픔(sadness)은 비통(grief)함으로, 가벼운 당혹감(embarrassment)은 수치(shame)로, 짜증(annoyance)은 분노(rage)로, 긴장(nervousness)은 공황(panic)으로 경험할 가능성이 높다. 

비난, 고립, 실패에 특히 민감
이들은 부정적인 감정에서 벗어나기 위해 감정적 고립(emotional isolation)이나 자해, 자살 행동(suicidal behavior)을 택할 가능성이 상당하다. 이 부정적인 감정은 문제 상황을 지각하고 다루는 데 도움을 주기 때문에, 이러한 반응 차단 습관이 환자들에게 악순환이 된다.

단발적이고 우발적인 희열감과 정서적 심리적 고통
경계선 인격장애를 가진 이들은 단발적이고 우발적인 희열감(euphoria)을 느끼면서도 동시에 심각한 불안과 불만 상태인 불쾌감(dysphoria), 우울감, 정서적 심리적 고통 등을 느낀다.

정서적 불안정
이들은 정서적 불안정(emotional lability)을 겪는다. 경계선 인격장애를 가진 이들의 감정 기복(mood swing)은 분노와 불안, 우울과 불안이 반복적으로 교차하는 식의 불안에 가깝다. 

경계선 인격장애 치료 방법
치료는 우선 환자가 매일 경험하는 대인 관계상의 문제점을 중심으로 상담하고, 경계선 인격장애 특유의 정신병리를 이해해야 한다. 대부분 정신 치료와 약물치료를 병행하는데, 약물치료에는 항정신병 약물이나 항우울제 등을 사용하기도 한다. 우울과 불안과 같은 증상이 동반되었을 경우 약물치료는 효과적일 수 있다.

심리치료
- 전이 중심 심리치료
 전이 중심 심리치료의 목표는 절대적 사고(absolute thinking)로부터 거리를 두는 것이다. 우선 환자들이 명확히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도록 독려한다. 이는 환자의 관점을 융통성 있게 변화시키는 것이다. 치료사는 환자의 느낌을 고려하고,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상황을 검토한다.

- 변증법적 행동치료
변증법적 행동치료는 인지행동치료에 명상(mediation)을 추가한 치료법이다. 이 치료는 정서 조절(emotion regulation), 마음 챙김(mindfulness), 스트레스 인내(stress hardiness) 등을 포함하여 환자가 스스로 증상을 관리할 수 있는 능력을 습득하도록 한다.

- 인지행동치료(CBT)
이 치료는 개인의 행동과 신념 변화를 목표로 한다. 인지행동치료로 자살 생각(suicidal thoughts)과 자해 행동은 물론 불안과 기분 증상(mood symptom)이 완화될 수 있다. 

- 정신화 기반 치료
일반적인 정신병 관리는 각각의 치료법의 핵심 원리들을 조합한 것이며, 보다 배우기 쉽고 강렬함도 적다. 정신화 기반 치료와 전이 중심 심리치료는 정신 역동적 원리에 기반하고 있으며, 변증법적 행동치료는 인지 행동적 원리와 마음 챙김에 기반하고 있다. 변증법적 행동치료와 정신화 기반 치료는 다수의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다. 

- 장기적인 치료
장기적인 심리치료는 최근 경계선 성격장애를 위한 최선의 치료(treatment of choice)가 되었다. 심리치료 중에서도 특히 변증법적 행동치료(DBT)와 정신역동 접근법들은 효과가 있지만 그 영향은 미미하다. 도식 중심 치료까지 포함한 모든 치료를 장기적으로 받는 것이 치료받지 않는 것보다 좋다. 특히 자해에 대한 충동을 줄여주는 데 효과가 있다.

마음 챙김에 기반한 간섭(Mindfulness-based intervention)은 증상호전을 도울 수 있다.  또한 일부 연구에서는 마음 챙김 명상(mindfulness meditation)이  긍정적인 두뇌 구조 변화를 이끌어낸다는 점에 집중한다.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사회성 인격장애(소시오패스)  (0) 2023.12.22
성인 애착유형  (0) 2023.12.21
우울증(우울 장애)  (0) 2023.12.19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0) 2023.12.18
ADHD(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치료  (0) 2023.1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