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공황장애

by memori_ 2023. 12. 12.

공황장애

불안장애의 일종으로, 반복적으로 예측 불가한 시점에 공황발작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불규칙적으로 극심한 공포와 불안을 느끼는 공황 발작이 반복되는 특징이 있다. 질병에 대한 정확한 원인이 없고, 두근거림, 땀, 신체 떨림, 호흡곤란, 마비, 불안 증상을 동반한다. 일반적으로 상담 치료와 함께 항우울제나 항불안제를 이용한 약물 치료가 병행된다. 흔히 벤조다이아제핀이나 베타 차단제를 처방한다.

 

 

 

- 명확한 원인 불명

흡연을 포함한 약물 사용, 심리적 스트레스, 아동학대의 경험 등이 공황장애의 원인이 될 수 있으나, 명확한 원인은 아직 불명이다. 첫 공황발작은 대인관계 갈등, 질병, 이별, 파산과 같은 사회적 스트레스 상황에서 갑작스럽게 나타나는 경우가 많으며, 공황장애 환자 약 70%가 공황발작이 시작되기 전부터 범불안장애(GAD)를 가지고 있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 한 달 이상의 전조증상

공황장애는 한 달 이상의 행동적 전조증상이 있으며, 예기불안으로 이후 또 다른 공황발작에 대한 두려움을 유발하기도 한다. 공황장애 자체가 광장공포증은 아니지만 대부분의 공황장애가 광장공포증(agoraphobia)을 겪는다.

심리적 안정에 대한 부작용으로 주로 정치인들에게 많이 생기는 질병이다.

 

공황장애 합병증

1. 우울증

공황장애가 우울증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지만, 장기적으로 우울증이 발병할 소지가 높다. 우울증을 경험하는 공황장애 환자의 비율은 30% ~70%로 상당히 높은 비율을 차지한다.

 

2. 알코올 중독

공황장애 여성 중 알코올 의존도는 19%이며. 광장 공포증이 있는 공황장애 환자 중 24%가 알코올 중독임이 연구 과정에서 밝혀졌다. 알코올은 의존성이 생길 수 있지만 GABA(중추신경계의 중요한 억제성 신경전달물질)에 작용하여 일시적으로 불안을 완화하는 작용을 한다.

 

3. 질병 공포증

과도하게 신체적 증상과 질병을 걱정한다.

 

4. 성격 변화

회피적 특성, 의존적 성격 및 연극성 성격장애의 성향이 두드러진다.

 

공황장애 주요 증상

  • 두근거림(palpitation)의 돌발
  • 흉통
  • 숨 막히는 기분
  • 현기증 혹은 아찔한 기분
  • 비현실감(이인증 혹은 비 현실화 de realization)
  • 죽음, 통제력 상실, 미칠 것 같은 것에 대한 부차적 공포

※ 우울장애 환자의 경우, 공황발작은 우울증에 부차적인 요소가 된다.

 

 

공황장애 진단 방법

- ICD-10에서 제시하는 진단 기준

반복적인 심각한 불안(공황)으로 인한 발작(특정 상황이나 환경에 국한되지 않기에 예측 불가)

 

- 2000년 판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DSM-IV-TR) 진단 기준

  • 예측 불가하고 반복적인 공황발작(panic attack)
  • 유의미한 행동 변화(behavior change)
  • 발작에 대한 지속적인 우려
  • 광장공포증(agoraphobia)이 발생하거나 발생하지 않은 경우

※ 약물이나 질병으로 인한 발작, 혹은 다른 정신장애로 발생한 것으로 보이는 공황발작은 공황장애 진단에서 제외된다.

 

- 광장공포증이 있는 공황장애 특징

  • 한 번 이상 발작을 경험한 후 다음 한 달 넘게 불안을 느끼는 상황을 피함.
  • 상당한 고통을 느끼며 견딤
  • 공황발작이 닥치는 것을 불안해하며 견디거나, 동반자가 옆에 있어야 버틸 수 있는 경우.
  • 또다시 공황발작이 오면 어떻게 하나 하는 걱정.
  • 예측하지 못한 공황발작이 반복되고, 탈출이 불가능하거나 도움을 청하기 어려운 장소를 두려워함. 이런 불안이나 회피행동이 다른 장애로 더 잘 설명될 때는 광장공포증이라 붙이지 않는다.

※ DSM-5의 변경된 진단 기준에 따라 공황장애가 있어야만 광장공포증이 있는 것은 아니다.

 

공황장애 치료 방법

공황장애는 심각한 정신 건강 질환이지만, 현재까지 효과적인 치료법은 알려지지 않았다. 그럼에도 치료가 성공할 가능성은 작지 않다.

 

- 일차적 치료(treatment of choice) 방법

  • 긍정적 자기 대화(positive self-talk)
  • 인지 행동 치료(CBT), 화학요법(pharmacotherapy)
  • 화학 치료(first-line pharmacotherapeutic option) :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를 처방

 

1. 인지 행동 치료

인지 행동 치료는 문제가 발생하는 비합리적인 공포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치료는 먼저 호흡을 진정시키고, 불안함이 찾아왔을 때의 신체감각에 집중한다. 치료사는 환자로 하여금 불안감을 조성하여 공포의 뿌리를 찾도록 돕는다. 또한 환자들은 일기를 작성할 것과 불안(anxiety)을 유도하는 원인을 직시하도록 권고받는다. 최근 미국 정신의학협회(APA)와 미국 의사협회(American Medical Association)는 인지행동치료나 심리 화학적 개입 둘 중 하나를 치료에 활용한다. 이 둘을 혼합한 치료법의 우수성이 증명되기도 하였다.

 

- 치료 실패의 위험 요인

  • 동반성 임상 우울(Co morbid clinical depression)
  • 인격 장애(personality disorder)
  • 알코올 남용(alcohol abuse)

- 치료율을 높이는 요인

  • 공황 증상을 이해해 주는 가족이나 친구의 지지
  • 장애를 이해하고 대처할 수 있는 지지집단

 

- 인지 행동 치료에 근거한 자구책

치료에 사용되는 운동(책이나 웹사이트)

 

2. 심리 치료

숙련된 전문의의 적절한 치료로 공황장애의 심각도와 빈도를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다.

 

- 공황 집중 정신역동 심리치료

이 치료 과정은 의존(dependency), 분리불안(separation anxiety), 분노의 역할에 집중한다. 스트레스 요인을 탐색하고, 무의식 속 갈등에 관한 정신역동과 공황발작을 일으키는 방어기제(defense mechanism)를 탐색한다. 치료사-환자 관계에 있는 전이(transference)와 분리불안 문제에도 집중한다.

 

- 근육 이완과 호흡 운동

근육 이완(muscle relaxation)과 호흡 운동(breathing exercise)이 공황발작 감소에 효과가 없음이 비교 임상실험에서 밝혀졌다. 실제로 호흡운동은 재발 우려를 높인다.

 

3. 자극 감응 노출 치료

이 치료 방법은 임상적 효과가 있음에도 치료사의 12~20%만이 활용하고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훈련 장소의 부족, 치료 기간이 비교적 장기라는 점, 치료소 외에서의 치료 행위 금지, 치료에 대한 불신 등의 이유로 치료 활용도가 낮다.

 

4. 약물 치료

약물 치료는 치료를 수월하게 하며 효과가 입증되었다. 내성, 의존성, 남용의 문제로, 벤조다이아제핀보다는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억제제가 처방된다.

 

- 약물 치료제

  • 항우울제(Antidepressant) :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억제제(SSRI), 모노아민 산화 효소 억제제(Mono amine oxidase inhibitor, MAOI), 삼환계 항우울제(tricyclic antidepressant),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norepinephrine re uptake inhibitor)

 

  • 항불안제(벤조다이아제핀(benzodiazepine)) : 미국 정신과 협회(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는 벤조다이아제핀과 항우울제 중 무엇을 사용할지에 대한 선택은 환자 개인의 내력과 성격에 따라 결정돼야 한다고 권고한다. 벤조다이아제핀은 효과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지만, 의존(benzodiazepine dependence) 발병 위험성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고 밝혔다.

※ 약물내성(Drug tolerance)과 의존성(physical dependence)의 발달 위험 때문에 일부 전문가들은 벤조다이아제핀 사용을 금한다.

 

- 벤조다이아제핀에 관한 기관의 보고

세계 생리 정신과 협회 연합

한 가지 치료법만을 사용하는 것에 대한 증거가 불충분하다.

 

영국 국립 임상연구소(National Institute of Clinical Excellence)

벤조다이아제핀은 장기간 효과가 없으며 4주 이상 사용하지 말라는 결론을 내렸다.

 

미국 국립연구소 임상 가이드라인(NICE clinical guideline)

벤조다이아제핀은 비교적 단기간 탁월성을 보였지만 임상에서 적용하는 데는 제한적이다. 대체 약물치료나 정신 치료를 추천한다.

 

※ 약물치료가 공포증을 직접적으로 바꿀 수 있다는 증거는 많지 않고, 이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ADHD(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증상  (0) 2023.12.14
자폐증  (0) 2023.12.13
조현병 Ⅱ  (0) 2023.12.11
조현병Ⅰ  (0) 2023.12.11
양극성장애  (0) 2023.1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