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연극성 인격장애

by memori_ 2023. 12. 26.

연극성 인격장애
연극성 인격장애(演劇性人格障礙)는 과도하게 극적(劇的)인 특징이 나타난다. 타인의 시선을 집중시키는 특이하고 비정상적인 행동(attention-seeking behaviors)을 일삼고, 쉽게 흥분하며 연극을 하는 듯한 성향이 보이는 인격장애의 일종이다. 히스테리성 인격장애(histrionic personality disorder, HPD)로도 불리곤 한다. 미국 정신의학협회(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에서는 성격장애(personality disorder)로 규정하고 있다.

 



비정상적인 관심 추구(attention-seeking)
연극성 인격장애를 가진 사람은 유아기부터 타인으로부터 정상범위를 넘어선 관심을 추구(attention-seeking)하는 행동을 보인다. 또한 인정받으려는 욕구를 표현하고, 부적절한 성적 유혹(seduction)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명랑하고(vivacious) 극적인(dramatic) 성격
연극성 인격장애를 가진 사람은 명랑하고(vivacious), 활발하고(lively), 열정적이며(enthusiastic), 외향적이고(extroverted), 극적이며(dramatic), 이성적으로 끌리기 쉬운(flirtatious) 성향일 가능성이 높다.

극적인 인격장애의 집단
극성 인격장애는 과도하게 타인의 관심을 추구하고, 새로운 자극을 원하며, 소란스럽다. 또한 이들은 부적절하게 외관을 꾸미거나, 감정과 언행을 과장되게 하여 눈길을 끌 수도 있다. 연극성 인격장애는 인격장애의 극적 클러스터(dramatic cluster)이다. 사회적으로 도발적인 행동을 반복하며, 자신들의 강하고 특별한 감정을 표출하기 위해 인상적인 스타일을 고수한다. 이들은 타인의 말에 쉽게 흔들릴 수 있다. 

그 외 관련된 특징
연극성 인격장애의 그 외 관련 특성으로는 쾌락주의(self-indulgence), 자아 중심주의(egocentrism), 자신의 바람을 이루기 위한 지속적인 조종 행동(manipulative behavior), 칭찬에 대한 지속적인 갈망 등이 있다. 연극성 인격장애의 치료는 평균 40세부터 시작하며 15세까지는 이러한 특성들이 완전히 발달하지 않는다고 한다.

연극성 인격장애의 원인
신경 화학적/생리학적 원인
신경전달물질인 노르에피네프린은 체내 수치가 높을 경우 불안 성향, 높은 사교성, 의존성을 나타낸다. 연극성 인격장애 환자들은 신경전달물질인 노르에피네프린의 합성, 저장, 방출을 담당하는 노르아드레날린 성 계통이 반응이 평균 이상이라고 한다. 여러 연구에서 신경전달물질 기능과 연극성 인격장애와 같은 B 클러스터 인격장애 사이의 관련성 정도가 상당함이 사실로 밝혀졌다. 

유전적 요인
오슬로대학(Oslo University) 심리학과는 유전자와 B 클러스터 인격장애 간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 쌍둥이 연구(twin study)는 유전성과 환경성 논쟁을 종결시키는 데 기여했다. 연구 표본으로 92쌍의 일란성 쌍둥이와 128쌍의 이란성 쌍둥이를 대상으로, 연구자들은 DSM-III-R 인격장애용 구조화 임상 상담(Structured Clinical Interview for DSM-III-R Personality Disorders, SCID-II)방식을 이용하여 피실험자들과 상담을 진행했다. 연구 결과 연극성 인격장애가 유전적 원인 간의 0.67의 연관성 정도를 도출해 냈다.

부모의 높은 기대에 기반을 둔 조건적 사랑
정신분석학 이론에서는 아이에게 부모 중 한쪽(주로 엄마) 혹은 양쪽이 아이가 절대 만족시킬 수 없는 기대치를 두고 조건적으로 사랑을 주거나, 엄격하고 권위적이거나 심적으로 동떨어진 태도를 보이는 경우 연극성 인격장애의 원인이 될 수 있다고 지목한다. 

유년기의 트라우마적 경험
지크문트 프로이트(Sigmund Freud)는 연극성 인격장애 환자들이 대부분 정서적으로 빈약하고 피상적이라고 판단했다. 프로이트는 또한 유년기에 가까운 주변 사람의 죽음이나 부모의 이혼과 같은 충격적인 경험이, 깊은 관계에 전념할 수 없도록 잘못된 인상을 각인시키기 때문에 성인이 되어서도 사랑을 하지 못하는 원인이 된다고 보았다.

연극성 인격장애와 반사회성 인격장애
한 이론에서 연극성 인격장애와 반사회성 인격장애 간의 관계를 알 수 있다. 연극성 인격장애 환자 중 다수가 반사회성 인격장애 진단 기준과 유사한 기준을 충족하기도 함이 연구에서 밝혀졌다. 이는 두 인격장애의 성 유형 표현에 기초한 기저 원인이 동일하며 공유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불명확한 원인
아직 연극성 인격장애의 명확한 원인을 규명한 연구는 희박한 수준이지만, 여러 이론과 연구에서는 유전적, 신경 화학적, 환경적 요인, 정신분석학적 요인들과 같은 원인을 내세우고 있다. 연극성 인격장애 진단을 받은 여성과 유사한 특징으로는 사치(extravagance), 허영(vanity), 히스테리로부터 나오는 매혹스러운 힘(seductiveness of hysteria) 등으로 밝혀졌다. 

일부의 가족사 연구
연극성 인격장애, 경계선 인격장애, 반사회성 인격장애는 가족 내력일 수 있지만 유전자와 환경요소 둘 중 어느 것 때문인지는 명확하지 않다고 일부 가족사 연구에서는 판단한다. 연극성 인격장애가 유전된다는 것과 생물학적 화합물 영향을 받는 것에 대해서는 밝혀진 바가 없다. 연극성 인격장애의 생물학적 자원을 특정하는 연구는 거의 이뤄지지 않았다. 두 가지 예시 모두 소인(predisposition)이 특정 인물들이 연극성 인격장애 증상을 나타내는 원인에 관한 요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연극성 인격장애의 증상
높은 사회적 직업적 수행 능력
이들은 사회적 기술이 발달했지만, 이를 타인을 이용하는 것에 악용하여 자신이 관심의 대상이 되려고 할 수 있다. 연극성 인격장애는 직장과 연인관계는 물론 실패나 좌절에 대한 대처 능력에도 악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다. 

현실 회피, 높은 이직률
연극성 인격장애 환자들은 자신의 상황을 똑바로 직면하길 두려워한다. 대신 이들은 자신의 고통을 과장하거나 극적으로 평가한다. 이들은 좌절감으로부터 회피하고, 선호가 빈번하게 변화하기 때문에 이직률이 높을 수 있다. 또한 새롭고 호기심을 불러일으키는 것에 흥미를 느껴 스스로를 아찔한 상황에 몰아넣을 수도 있다.

- 반복적인 과시적 행위(exhibitionist behavior)
- 타인의 인정을 끝없이 추종함
- 비판이나 거절 반응에 상당히 민감하게 반응함
자신의 인격을 높이 평가하고, 변화를 두려워함
- 부적절하게 매혹적인 외모나 성적 행동
- 타인의 이목을 집중시키기 위해 인위적인 신체 질병 증상이나 심리 장애를 이용함
타인의 관심을 과도하게 원함
- 인내심이 부족하여 좌절감이나 만족 지연(delayed gratification)과 좌절감을 참지 못함
- 관계에 친밀도를 착각함
- 결정에 충분한 시간을 두지 않음
자신의 성과 부족이나 실패를 타인에게 책임 전가
- 자신에게 호의적인 사람일수록 쉽게 영향받을 수 있음
- 과도하게 감정적이며 극적일 수 있음
- 타인의 평가에 기분이 좌지우지됨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박장애  (0) 2023.12.28
번아웃 증후군  (0) 2023.12.27
자기애성 인격장애(나르시시즘)  (0) 2023.12.25
반사회성 인격장애(소시오패스)  (0) 2023.12.22
성인 애착유형  (0) 2023.12.21